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면라이더 W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작의 주인공 가면라이더에 대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 문서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번 문단을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가면라이더 시리즈 로고.webp
[ 펼치기 · 접기 ]


[ 관련 인물 ]

원작자
이시노모리 쇼타로
프로듀서
시라쿠라 신이치로타카테라 시게노리타케베 나오미오오모리 타카히토
우츠노미야 타카아키츠카다 히데아키타카하시 카즈히로히카사 준
모치즈키 타쿠히라야마 토오루
각본가
아라카와 나루히사이노우에 토시키코바야시 야스코아이카와 쇼
요네무라 쇼지산죠 리쿠나카시마 카즈키우로부치 겐
타카하시 유야이마이 쇼지키다 츠요시코누타 켄지
코무라 쥰코모리 노부히로나나시노 토리코카이호 노리미츠
하가네야 진하세가와 케이이치후쿠다 타쿠로무토 쇼고
시모야마 켄토카케히 마사야이가미 마사루우에하라 쇼조
우치다 히로키키노시타 한타타카하시 이즈미타카노 미나토
슈트 액터
나카야시키 테츠야이토 마코토에이토쿠오카모토 지로
와타나베 준타카이와 세이지후지타 사토시오카다 카즈야
나카타 유지나와타 유야칸자키 하지메츠카고시 야스나리
토미나가 켄지니이보리 카즈오오노 유우키이마이 야스히코
하루타 쥰이치후쿠자와 히로후미오시카와 요시후미아사이 코스케
오카다 료지야베 케이조미즈타니 타케시나가세 나오키
하시모토 케이코시라이 마사시후지오카 히로시오카다 마사루
나카무라 분야야마구치 타케히사카와라자키 히로시나카무라 유
이와이 준이치카라사와 토시아키오구라 토시히로카네다 신이치
타카다 마사시요코야마 카즈토시이토 노리히토히토미 사나에
사토 다이스케타케우치 야스히로카네코 타츠야츠쿠이 미나미
후지이 유고후지타 요헤이우치카와 지로노베 다이치
아즈마 케이스케카지 코타로사노 나츠미테라모토 쇼고
이와카미 히로카즈아라카와 마코토마츠오카 코헤이아키야마 토모히코
마에다 히로시마크 무사시이토 시게키코모리 타쿠마
사카에 단키하치스카 유이치쿠사노 신스케츠타무네 마사토
이시이 야스아키모리가미 다이스케아리조노 케이고카타오카 츠루타로
아다치 나츠미타카사키 모모카모리 히로츠구미야자와 유키
오오하시 아키라요시다 미즈호스나오시 유미히노 아야코
와타나베 토모타카이가라시 무츠미하야시모토 나나이시가키 히로후미
우사미 스즈카카와시마 쇼타로테라모토 쇼고요네오카 타카히로
이시이 야스아키




파일:w로고.png
가면라이더 더{{{#!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1px 0px #000000, 1px 0px 0px #000000, 1px -1px 0px #000000, 0px -1px 0px #000000, -1px -1px 0px #000000, -1px 0px 0px #000000, -1px 1px 0px #000000, 0px 1px 0px #000000, 0px 0px 4px #000000;color:orangered">블 }}}
(仮面ライダー ダブ{{{#!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1px 0px #000000, 1px 0px 0px #000000, 1px -1px 0px #000000, 0px -1px 0px #000000, -1px -1px 0px #000000, -1px 0px 0px #000000, -1px 1px 0px #000000, 0px 1px 0px #000000, 0px 0px 4px #000000;color:orangered">ル)}}}

KAMEN RIDER W (2009)
파일:poster_double.jpg
방송 시간매주 일요일 아침 8:00 ~ 8:30(30분 방영)
방송 기간2009년 9월 6일 ~ 2010년 8월 29일
방송 횟수49화
제작테레비 아사히, 토에이, ADK
채널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원방송 로고.svg
시청 등급12세 이상
원작이시노모리 쇼타로
프로듀서테레비 아사히: 모토이 켄고
토에이: 츠카다 히데아키, 타카하시 카즈히로
연출타사키 류타메인 감독, 모로타 사토시, 쿠로사와 나오스케, 시바사키 타카유키, 이시다 히데노리, 사카모토 코이치
극본산죠 리쿠[1], 하세가와 케이이치, 나카시마 카즈키, 아라카와 나루히사
내레이션타치키 후미히코 / 이재범
출연키리야마 렌, 스다 마사키, 야마모토 히카루, 키노모토 미네히로 외
첫 에피소드W의 검색/탐정은 둘이서 한 명(Wの検索 / 探偵は二人で一人)

1. 개요
2. 시놉시스
3. 제작진
4. 음악
4.1. 주제가
4.2. 삽입곡
4.3. 관련 보컬곡
4.4. 관련 앨범
5. 국내 방영
8. 전용 장비
9. 관련 설정, 용어
10. 평가
11. 매출
12. 관련 작품
12.1. 극장판
12.1.1. 플라네타륨 영화
12.2. 스핀오프 및 메이킹 영상
12.3. V시네마
12.4. 소설
12.6. 게임
13. 방영 리스트
14. 타임라인
15. 기타
16. 패러디


1. 개요[편집]


방송 예고 트레일러.

우리는 둘이서 하나인 가면라이더다.(俺たちは/僕たちは、二人で一人の仮面ライダーさ)

이걸로 승부한다! (これで決まりだ!)[2]

- 작품 슬로건 문구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종영 이후 방영을 시작한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 11번째 작품이자 헤이세이 라이더 2기의 시작을 알린 작품. 기획 프로젝트명은 헤이세이 라이더 10주년 기념 가을의 장. 이때부터 영어표기가 Masked Rider가 아닌 Kamen Rider로 표기된다.

본편 개시 전에 극장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올 라이더 대 대쇼커에 선행 출연.1 2 후반부에 잠깐 등장해 섀도우 문을 압도하며 존재를 알렸다.

내레이터는 작중 가이아메모리 음성 담당이자 쿠우가의 내레이션을 맡기도 했던 타치키 후미히코/이재범.

2013년 7월 12일에 시리즈 최초로 블루레이 박스가 발매되었다.

또한 가면라이더 시리즈 최초로 후속편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 후토탐정/애니메이션 참고.


2. 시놉시스[편집]


마을 곳곳에서 풍차가 도는 바람의 도시 '후토(風都)'
이 마을에 어느 날 '가이아 메모리의 힘으로 변신한 '도펀트'라는 초인들이 저지르는 사건들이 발생하고, 경찰들이 무력해졌을 때 두 명의 탐정이 나타난다.
하드보일드를 표방하는 하프보일드 히다리 쇼타로. '지구의 기억'을 가진 수수께끼의 소년 필립.
'우리는 둘이서 하나인 가면라이더다!'


3. 제작진[편집]


메인 각본 - 산죠 리쿠(에피소드 1~6, 에피소드 9~10, 에피소드 15~16, 에피소드 19~20, 에피소드 23~24, 에피소드 27~28, 에피소드 31~32, 에피소드 39~40, 에피소드 43~파이널 에피소드,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터널 각본)
서브 각본 - 하세가와 케이이치(에피소드 11~14, 에피소드 17~18, 에피소드 21~22, 에피소드 25~26, 에피소드 29~30, 에피소드 35~38, 에피소드 41~42, 가면라이더 액셀 각본)
게스트 각본 - 아라카와 나루히사(에피소드 7~8), 나카시마 카즈키(에피소드 33~34)
  • 감독 : 타사키 류타(田崎竜太), 모로타 사토시, 쿠로사와 나오스케(黒沢直輔)(에피소드 5~6), 시바사키 타카유키, 이시다 히데노리, 사카모토 코이치(극장판)
  • 음악 : 나루세 슈헤이, 나카가와 코타로
  • 액션 감독 : 미야자키 타케시
  • 특수 감독 : 부츠다 히로시
  • 촬영 : 마츠무라 후미오
  • 크리쳐 디자인 : 테라다 카즈야


4. 음악[편집]


나루미 소우키치의 'Nobody's Perfect'와 다이도 카츠미의 곡들만 제외하고, 엔딩 테마를 부른 가수들은 모두 후토의 지역 밴드라는 설정이 있다. 참고로 그룹의 이름은 모두 20세기 초반의 유명한 허리케인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 1935년의 Labor Day 허리케인, 1900년의 Galveston 허리케인, 1919년의 Florida Keys 허리케인 등. 예외로 액셀 테마의 Wilma-Sidr는 허리케인 Wilma와 사이클론 Sidr에서 각각 따 왔다.

4.1. 주제가[편집]


  • 오프닝
    • W-B-X ~W Boiled Extreme~(작사: 후지바야시 세이코 / 작곡: 나루세 슈헤이 / 노래: 카미키 아야 w TAKUYA[3])
  • 극장판 주제가
    • W(더블)(노래: 마츠오카 미츠루(다이도 카츠미 역)): 가면라이더 더블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의 주제가
    • Stay the Ride Alive(노래 : GACKT):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더블&디케이드 MOVIE 대전 2010의 주제가
    • HEART∞BREAKER(노래: Daikichi~다이키치~):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오즈&더블 feat.스컬 MOVIE 대전 CORE의 주제가
  • V 시네마 주제가
    • Leave All Behind(노래: Wilma-Sidr)[4]: 가면라이더 액셀의 주제가
    • Cod-E ~E의 암호~(노래: SOPHIA(마츠오카 미츠루)(다이도 카츠미 역)): 가면라이더 이터널의 주제가, 2011년 7월 27일 발매.

4.2. 삽입곡[편집]


  • 극 중 삽입곡
    • Cyclone Effect(노래: Labor Day): 더블 사이클론 사이드(사이클론조커) 테마송, 3화~6화, 9화, 21화, 23화~25화, 45화에서 사용되었다, 2009년 11월 26일 싱글 발매.
    • Finger on the Trigger(노래: Florida Keys): 더블 트리거 사이드(루나트리거) 테마송[5], 7화~8화, 14화, 16화, 18화, 23화[6], 30화 39화에서 사용되었다.
    • Free your heat(노래: Galveston 19): 더블 히트 사이드(히트메탈) 테마송, 10화~11화, 13화, 19화~21화에서 사용되었다.
-각각 2009년 12월 16일 싱글 발매.
  • Leave All Behind(노래: Wilma-Sidr): 액셀 테마송 겸 V 시네마 가면라이더 액셀 오프닝, 22화, 44화에서 사용되었다, 2010년 4월 28일 싱글 발매.
  • Extreme Dream(노래: Labor Day): 더블 CJX 테마송, 46화, 48화에서 사용되었다, 2010년 9월 22일 발매된 「가면라이더 W Special CD-BOX」, 2011년 4월 27일 발매된 「KAMEN RIDER BEST 2000-2011」에 수록되었다. 2015년 현재 해당 곡은 이 두 앨범에만 수록되어있는 상태.
  • Glorious Street 영광의 길(노래: Florida Keys): 8화에서 사용되었다.
  • Naturally(노래: 아스카 린(소노자키 와카나 역)): 13화~14화, 17화에서 사용되었다, 소노자키 와카나의 캐릭터송, 2010년 1월 27일 싱글 발매.
  • Love ♡ Wars(노래: 이타노 토모미 & 카사이 토모미(퀸 & 엘리자베스 역))[7]: 23화~24화에서 사용되었다, 2010년 3월 31일 싱글 발매.
  • Nobody's perfect(노래: 킷카와 코지(나루미 소우키치 역)[8]): 32화, 38화, 41화, 42화,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오즈&더블 feat.스컬 MOVIE 대전 CORE에서 사용되었다, 2010년 6월 30일 발매.
  • Cyclone Effect(Acoustic Edit.)(노래: Labor Day)[9]: 21화, 48화에서 사용되었다.
  • 극장판 삽입곡
  • Finally(노래: 야마모토 히카루(멜리사 역)):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오즈&더블 feat.스컬 MOVIE 대전 CORE에서 사용되었다.

4.3. 관련 보컬곡[편집]


  • W-B-X ~W-Boiled Extreme~ / 上木 彩矢(카미키 아야) w TAKUYA 듣기 TV size
  • Cyclone Effect / Labor Day 듣기
  • Cyclone Effect (acoustic edit.) / Labor Day 듣기
  • Free your heat / Galveston 19 듣기
  • Free your heat (acoustic edit.) / Galveston 19 듣기
  • Finger on the Trigger / Florida Keys 듣기
  • Finger on the Trigger (acoustic edit.) / Florida Keys 듣기
  • Leave All Behind / Wilma-Sidr 듣기
  • Leave All Behind (acoustic edit.) / Wilma-Sidr 듣기
  • Extreme Dream / Labor Day 듣기
  • Glorious Street 栄光の道(Glorious Street 영광의 길) / Florida Keys 듣기
  • Naturally / 飛鳥 凛(아스카 린(소노자키 와카나 역)) 듣기
  • Naturally (healing edit.) / 飛鳥 凛(아스카 린(소노자키 와카나 역)) 듣기
  • W(더블) / 松岡 充(마츠오카 미츠루(다이도 카츠미 역)) 듣기 Movie size
  • Love ♡ Wars / 板野 友美(이타노 토모미) & 河西 智美(카사이 토모미)(퀸 & 엘리자베스 역) 듣기 (+이타노 토모미 솔로 Ver 듣기 / 카사이 토모미 솔로 Ver 듣기)
  • Love ♡ Wars (ACO Edit.) / 板野 友美(이타노 토모미) & 河西 智美(카사이 토모미)(퀸 & 엘리자베스 역) 듣기
  • Nobody's Perfect / 吉川 晃司(킷카와 코지(나루미 소우키치 역)) 듣기
  • Cod-E ~Eの暗号~(Cod-E ~E의 암호~) / 松岡 充(마츠오카 미츠루(SOPHIA)(다이도 카츠미 역)) PV PV 신규 공개본
  • WIND WAVE / 츠요시 to 아야노 듣기
  • WIND WAVE jingle-1 듣기
  • WIND WAVE jingle-2 듣기
  • WIND WAVE jingle-3 듣기
  • 風都タワー(후토 타워) / 冨田 輔(토미타 케이스케(지미 나카타 역)) 듣기
  • Stay the Ride Alive / Gackt 듣기 Movie size PV
  • HEART∞BREAKER / Daikichi〜大吉〜(Daikichi~다이키치~) 듣기 Movie size
  • Finally / 山本 ひかる(야마모토 히카루(멜리사 역)) 듣기

4.4. 관련 앨범[편집]



5. 국내 방영[편집]


파일:!더블로고.jpg

국내판 오프닝

국내에선 다른 라이더들과 마찬가지로 2012년 1월 대원 채널들에서 방영되었는데, 시리즈 최초로 완전 로컬라이징을 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10] 파워레인저(슈퍼전대) 시리즈나 기타 특촬물들도 무국적화 선에서 그쳤던 걸 생각하면 꽤나 파격적인 시도라고 볼 수 있다.[11] 필립 역의 심규혁 성우가 모 특촬 관련 네이버 블로그에 직접 남긴 댓글에 따르면 로컬라이징은 제작사인 토에이 쪽에서 더욱 하자는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댓글 참고

현지화에 따라 가이아 메모리의 음성도 더빙되었다. 성우는 대원 2기 성우인 이재범. 호불호가 갈리지만 대체로 원본의 느낌을 나름대로 잘 표현을 했다는 평이다. 다만 메모리 음성을 사전녹음한 걸 돌려쓰는 게 아니라 그때마다 더빙해서 그런지 변신 시의 톤이 매번 들쑥날쑥하다.[12] 완구판의 경우는 상당히 박력이 넘친다. 주요 성우진의 연기도 전체적으로 괜찮다는 평가가 대세.

심지어 23~24화에서 등장인물들이 부르는 노래를 모두 더빙하더니 32화에서는 삽입곡인 Nobody's perfect까지 더빙해서 삽입했다.[13] 가면라이더 키바 때 노래 파트에서 원곡을 내보내고 자막으로 처리해버리는 방식을 사용했던걸 생각하면 장족의 발전이다.

또한 에피소드 29~30(나이트메어 도펀트)의 내용에 변경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나해미(아키코)가 어느 비디오점에 들러서 일본의 대하드라마 DVD를 빌려왔다고 한다던가, 드림 캐쳐를 머리에 쓰고 잠들어 버린 나해미(아키코)가 일본인이 되고[14] 일본의 오사카에서 타코야키를 팔며 장사하는 꿈을 꾸는 식이 되었다. 또한 쇼타로(박태상)의 꿈 속에 나오는 사람들 이름은 한국 사극에 나올 법한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오히메 → 공주 낭자, 필립파치 → 개똥이, 산타 → 초랭이 등등.[15][16]

이는 담당 PD가 가면라이더 블레이드부터 연출을 맡아온 200%김정령 PD에서 러키☆스타, 절대가련 칠드런, 파워레인저 엔진포스 등을 연출해온 황태훈 PD로 변경된 것이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왠지 오덕성 드립을 잘 살린 작품 같아 보이면 지는 거다 그간 기존 시리즈들이 키바를 제외하면 화려한 성우진과 연기를 자랑했기 때문에 초반엔 피디 교체에 약간 불안해하는 팬들도 있었지만, 엔진포스 때 더빙과 현지화 쪽으로 좋은 평가를 받은만큼 이번에도 제대로 된 로컬라이징을 보여줬다는 평. 그런데 훗날 대원은 여기서 얻은 명성이 가면라이더 오즈에서 꺾였다. 나중에는 가면라이더 포제로 되찾았지만. 조연출은 전작인 디케이드에 이어서 하근희 PD가 담당했다.

다만 성우 갤러리에서 지적받는 점이 하나 있는데 방영을 급히 서둘렀는지 자세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녹음상태가 유난히 좋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오프닝의 도입부의 코러스가 거의 안 들릴 정도로 희미하다든가, 작중 대사들의 소리가 낮아 거의 웅얼거리는 톤으로 나오는 등 녹음면에선 영 좋지 못한 반응이 나왔다.

참고로 전작 가면라이더 디케이드는 7세 이상 관람가였으나 더블은 12세 이상 관람가로 시청 등급이 상향 조정되었다.[17][18]

이 작품의 극장판이 본편과도 이어지는 내용이니만큼 극장판 방영을 바라는 팬들도 있었지만, 완결까지 다 방영했음에도 진작에 나왔어야 할 비긴즈 나이트[19][20] 본편의 극장판인 운명의 가이아 메모리도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무비대전 CORE와 후일담인 V 시네마 가면라이더 액셀, 에피소드 48에서 카즈 쥰(차명석)이 어떻게 NEVER가 되었는지에 대해서 언급하는 V 시네마 가면라이더 이터널도 마찬가지.[21] 파워레인저야 나오는 건 나오지만 가면라이더는 더빙할때마다 극장판 나오는 건 손에 꼽을 정도니 극장판과 연계가 많은 더빙판 더블의 경우는 TV판만으로는 시원하게 보기 힘들다. 이후 2년이란 시간이 지난 가면라이더 포제까지 가서야 대원방송에서 라이더 시리즈의 극장판도 TV 방영으로나마 다시 방영해주기 시작했다.

olleh tv에서 VOD 서비스로 다시 볼 수 있었으나 2014년 7월 부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이 작품을 시작으로 헤이세이 2기의 오프닝을 대원방송 성우가 부르게 된다. 디케이드까지는 전문 가수가 불러왔다.

이후 국내방영 10주년 기념인지 후토탐정 애니메이션 방영의 암시인지 명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2022년 4월 2일부터 애니원, 애니박스, 가면라이더TV 유튜브 채널에서 본편을 매주 토요일 3편씩 무료로 업로드 해주기 시작했다.[22][23] 그리고 2022년 7월 16일부로 회차 업로드가 모두 끝났다. 전편 보러가기

본편 업로드가 끝난 뒤 몇주 되지않아 진짜로 후토탐정 애니메이션이 이후 실제로 대원방송 계열에서 방영되는 것이 확정되었으며, 애니박스를 기준으로 현지 방송 후 1시간 뒤에 자막판으로 방송하는 파격적인 편성으로 방송되었다.


6.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W/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등장 라이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W/등장 라이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공통적으로, 사이클론과 조커를 제외하고 모두 머리에 해당 이니셜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더블은 뿔이 W, 액셀도 옆에서 보면 A모양이 존재하며, 스컬의 이마에는 S자의 금이, 이터널의 뿔은 옆으로 눞힌 E이다.

8. 전용 장비[편집]




9. 관련 설정, 용어[편집]




10. 평가[편집]

















방영 전에 공개된 슈트 디자인이 혹평을 받았지만, 탄탄한 스토리 전개와 매력적인 캐릭터, 감동적인 결말로 상당한 호평을 받은 작품이며, 쿠우가와 함께 가면라이더 시리즈 중에서도 최고의 명작 중 하나로 꼽힌다.

스토리는 가이무, 에그제이드, 빌드처럼 너무 무겁지도 않고, 그렇다고 포제고스트처럼 너무 가볍지도 않고, 그렇다고 위자드드라이브처럼 왕도적이지도 않으면서도 코믹함과 시리어스함이 적당히 섞여있다.

보통 TV판이 좋은 평을 들어도 극장판이나 V시네마, 기타 외전에서 말아먹거나 그 반대의 경우를 보이는[24] 작품이 하나씩은 나오는 헤이세이 라이더 중에서도 거의 유일하게 극장판이나 V시네마에 이르기까지 호평이다. 전작인 디케이드가 워낙 안 좋은 쪽으로 말이 많았던지라 상대적으로 평가가 오른 것도 있다.

항상 어른의 사정이 많이 개입해 혹평을 자주 듣는 가면라이더 극장판 중에서도 호평을 듣는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포제&오즈 MOVIE 대전 MEGAMAX, 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 모두 더블이 주인공이거나 주인공급으로 활약하는 영화라는 점을 생각하면 정말 대단한 부분.

그렇기에 헤이세이 2기에서 손꼽히는 인기작으로 꼽히지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일단 배우들의 어설픈 연기나[25] 지나치게 떨어지는 CG 퀄리티가 특히 단점으로 꼽힌다. 카부토파이즈의 가속 연출을 생각하면 액셀 트라이얼 폼은 눈물이 나는 수준. 그리고 스토리 전개나 개연성, 캐릭터성 등의 측면에선 악역인 키리히코가 마지막에 애향민으로서 긍정적으로만 비쳐지는 점과[26] 후반부의 소노자키 와카나의 갑작스러운 캐릭터 변화, 재단 X 및 카즈 쥰의 갑툭튀와 같은 세부적인 몇몇 요소에서 억지스럽거나 매끄럽지 않은 부분들이 있어 아쉬운 평이 없지는 않다. 히로인인 나루미 아키코도 초반부의 민폐 및 다혈질적인 성격에 배우의 외설 사건까지 있어서 히로인으로써의 평가는 다소 아쉬운 편이다.

이후, 2021년 NHK가 주최한 전 가면라이더 대투표에서 작품 부문 2위, 라이더 부문 2위를 차지하면서,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높은 인기를 보여주고 있다. 심지어 기수 차이가 있긴 하지만 헤이세이 출신 라이더 중에 가장 인기가 많은 가면라이더 덴오를 상대로 견주고도 막상막하 취급을 할 정도의 인기를 자랑하며 위자드와 같은 10주년 기념조차 묻혀질 정도로 현재진행형으로 상당한 푸쉬를 받을 정도. 실제로 모든 헤이세이 라이더를 통틀어, 극장판이나 웹버전 등 본편의 외전 내지 '연장선' 격인 작품을 제외한 '정식 후속작'이 나온 작품은 이 작품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11. 매출[편집]


총 매출 198억엔을 기록했다. 109억엔을 기록한 디케이드(9개월 간 실적)의 배턴을 받아서 헤이세이 2기 매출 상승의 시발점이 되었다. #


12. 관련 작품[편집]



12.1. 극장판[편집]



12.1.1. 플라네타륨 영화[편집]


파일:가면라이더 W 플라네타륨 영화.jpg
  • 가면라이더 공포의 지구 온난화 계획
2010년 6월 5일 이후 일본의 플라네타륨관에서 상영. 어느 섬에서 쇼커가 기도하는 지구 온난화 계획을 1호, 2호, 더블, 그리고 10명의 헤이세이 라이더들이 막는다는 내용이라 한다.


12.2. 스핀오프 및 메이킹 영상[편집]


  • 히다리 쇼타로의 하드보일드 망상일기
  • 넷판 가면라이더 더블 FOREVER - AtoZ의 폭소 26연발
  • 가면라이더 고스트 전설! 라이더의 혼![T]
  • 가면라이더 지오 44~46화[E]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The Mystery[A]
  • 극장판 가면라이더 W 메이킹영상 DVD - 메이킹영상 DVD를 7월에 토에이에서 발매.
  • 가면라이더 W 하이퍼 배틀 DVD 돈부리의 α/안녕히 사랑스러운 레시피여
테레비군 응모자 전원 서비스 DVD. 후토시 명물 라면집 '풍면'(...)을 덮치는 도펀트의 비밀을 찾기 위해 쇼타로, 테루이, 아키코가 돈부리 대결을 하는 내용이다. DVD는 'FUTO EXPRESS'라고 쓰여진 전용봉투로 보내졌고 특전으로 극 중 요리의 레시피 카드 3매가 같이 보내졌다고 한다. 또 극 중 등장하는 '오야코돈 도펀트'는 독자 투고로 대상을 수상한 그림을 바탕으로 디자인 되었다고. 이 작품의 자세한 내용은 '오야코돈 도펀트' 항목 참조.
  • 가면라이더 W DVD 가이아 메모리 대도감
테레비군 2010년 8월호 부록으로 나온 DVD에 수록된 오리지널 에피소드. 어떤 사고[30]를 당해 가이아 메모리에 대해 잊어버린 필립의 기억을 돌아오게 하기 위해 가이아 메모리에 대한 내용을 검색해본다는 내용으로, 초배틀 DVD와 내용이 연동된다.
  • Nobody's Perfect
나루미 소우키치 역의 킷카와 코지의 앨범 Nobody's Perfect 뮤직비디오로 여기서 가면라이더 스컬과 테러 도펀트가 맞붙는다.
  • 가면라이더 잔느 & 가면라이더 아길레라 with 걸즈 리믹스[31]

12.3. V시네마[편집]


  • 가면라이더 W RETURNS
  • 드라이브 사가 가면라이더 체이서[A]
  • 지오 NEXT TIME 게이츠, 마제스티[A]

12.4. 소설[편집]


TV판 32화와 33화 사이의 내용. 필립의 시점으로 진행되며, 필립이 로스트 드라이버를 사용해 가면라이더 사이클론으로 변신한다.



12.5. 만화[편집]



가면라이더 W 본편의 정식 후속작. 만화와 애니메이션 형태로 정식 후속작이 나오는 것은 헤이세이 라이더 중에서 유일한 사례이다.

12.5.1. 애니메이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후토탐정/애니메이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5.2. 무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후토탐정/무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6. 게임[편집]




13. 방영 리스트[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 작은 1개의 에피소드가 '출제편(전편)',·'해결편(후편)'의 2화로 완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브 타이틀에도 2화마다 공통적인 타이틀이 제목 앞부분에 들어가있다. 공통된 제목에 들어가는 알파벳은 기본적으로는 해당 편에서 적으로 등장하는 도펀트의 이니셜이지만 예외도 있는데, 이는 아래의 설명을 참고. 일부 이니셜은 극의 내용을 따져보아 중의적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다. 에피소드 제목에 사용되는 색은 더블의 하프체인지로 나올 수 있는 모든 색조합(팡조커 제외)과 일치하며 9에피소드(18화)를 기준으로 반복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1부(18화) 동안 더블의 하프체인지 컬러링을 한번씩 제목에 사용하고 있는 셈. 또한 이니셜은 총 49화 (24X2+1)이기 때문에 알파벳이 하나가 빠져야 하는데 Z가 없다. Z의 메모리는 존(Zone)메모리밖에 없고 Z로 시작하는 단어가 드물기 때문으로 보인다.

참고로, 더블의 극장판인 가면라이더 W 비긴즈나이트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는 모두 TV판에서 연동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뒤늦게 정주행을 한다면 해당 에피소드에 맞춰 극장판도 감상하는 것을 추천한다. 극장판이 빠질 경우 본편에서 의문이 발생할 수 있는 곳도 생긴다.[32] 에피소드 번호의 각주를 참고하면 좋다.

방송일화수서브 타이틀각본감독의뢰인등장 도펀트시청률[33]
2009/9/0601W의 검색/탐정은 둘이서 한 명산죠 리쿠타사키 류타츠무라 마리나
(강마리나)
마그마 도펀트(1화)
티렉스 도펀트
10.2 %
2009/9/1302W의 검색/마을을 울리는 자9.8 %
2009/9/2003M에게 손 대지 마/천국으로 가는 방법모로타 사토시
(諸田 敏)
이즈미(이씨) 부부머니 도펀트
나스카 도펀트
클레이돌 도펀트(4화)
8.4 %
2009/9/2704M에게 손 대지 마/죠커로 승부7.1 %
2009/10/0405소녀…A/아빠는 가면라이더쿠로사와 나오스케
(黒沢直輔)
쿠스하라 미야비
(남원미)
아노말로카리스 도펀트
나스카 도펀트(6화)
6.8 %
2009/10/1106소녀…A/거짓말의 대가8.1 %
2009/10/1807C를 찾아라/필립은 그걸 참지 못해아라카와 나루히사타사키 류타미나모토 단고
(이준호)
코크로치 도펀트
스밀로돈 도펀트(7화)
9.6 %
2009/10/2508C를 찾아라/댄싱 히어로7.2 %
2009/11/0809S한 전율/메이드 탐정은 보았다!산죠 리쿠시바사키 타카유키아사카와 마이
(안재희)외 4인
스위츠 도펀트
나스카 도펀트
테러 도펀트
터부 도펀트(10화)
8.3 %
2009/11/1510S한 전율/명탐정의 딸8.2 %
2009/11/2211복수의 V/감염차(感染車)하세가와 케이이치모로타 사토시아오키
(정남일)
바이러스 도펀트
나스카 도펀트(11화)
7.4 %
2009/11/2912복수의 V/원념수(怨念獸)8.5 %
2009/12/613라디오로 Q/표적이 된 프린세스이시다 히데노리소노자키 와카나
(원지나)
바이올런스 도펀트
클레이돌 도펀트
7.7 %
2009/12/1314[34]라디오로 Q/생중계 大패닉7.0 %
2009/12/2015F의 잔광/강도라이더산죠 리쿠시바사키 타카유키아소 후유미
(윤영지)
암즈 도펀트
마스카레이드 도펀트
터부 도펀트(16화)
8.0 %
2010/1/0316F의 잔광/파트너를 되찾아라3.6 %
2010/1/1017안녕히 N이여/메모리 키즈하세가와 케이이치모로타 사토시바바카제(바람 이발소)의 마스터[35]
버드 도펀트
나스카 도펀트
7.0 %
2010/1/1718안녕히 N이여/친구는 바람과 함께7.8 %
2010/1/2419[36]I가 멈추지 않아/녀석의 이름은 액셀산죠 리쿠이시다 히데노리테루이 류
(류강혁)
아이스에이지 도펀트7.9 %
2010/1/3120I가 멈추지 않아/가면라이더의 유의(流儀)8.0 %
2010/2/721돌아온 T/여자에겐 맞지 않는 멜로디하세가와 케이이치사카모토 코이치마쿠라 슌
(박지만)
트리케라톱스 도펀트
마스카레이드 도펀트
스밀로돈 도펀트(21화)
6.8 %
2010/2/1422돌아온 T/죽지 않는 남자8.7 %
2010/2/2123입술에 L을/싱어 송 라이더산죠 리쿠타사키 류타퀸&엘리자베스라이어 도펀트8.8 %
2010/2/2824입술에 L을/거짓말쟁이는 너다8.7 %
2010/3/725P의 유희/인형은 손버릇이 나쁘다하세가와 케이이치이시다 히데노리리코
(봄이)
퍼페티아 도펀트9.7 %
2010/3/1426P의 유희/아키코 온 더 런9.4 %
2010/3/2127D가 보고 있었다/투명 매지컬 레이디산죠 리쿠사카모토 코이치리리 시로가네
(릴리 실버스톤)
인비지블 도펀트
웨더 도펀트
8.8 %
2010/3/2828D가 보고 있었다/결사의 트윈 맥시멈7.5 %
2010/4/429악몽 같은 H/잠자는 공주는 우울하다하세가와 케이이치타사키 류타유키무라 히메카
(한공주)
나이트메어 도펀트
웨더 도펀트
8.9 %
2010/4/1130악몽 같은 H/왕자님은 누구?9.1 %
2010/4/1831폭풍을 부르는 B/야수를 쫓을 것산죠 리쿠모로타 사토시비토 이사무
(백상도)
비스트 도펀트
존 도펀트(32화)
웨더 도펀트
8.2 %
2010/4/2532[37]폭풍을 부르는 B/지금, 빛 속에서8.3 %
2010/5/233Y의 비극/어제를 찾는 여자나카시마 카즈키이시다 히데노리후와 유코[스포일러1]
(선후아유[스포일러2])
예스터데이 도펀트
웨더 도펀트
8.6 %
2010/5/934Y의 비극/오빠와 여동생8.9 %
2010/5/1635R의 저편으로/마치 괴물과도 같은 비하세가와 케이이치타사키 류타마을 아이들케찰코아틀루스 도펀트
웨더 도펀트
8.8 %
2010/5/2336R의 저편으로/모든 것을 뿌리쳐라8.7 %
2010/5/3037내방자 X/약속의 다리모로타 사토시의문의 중년남호퍼 도펀트8.1 %
2010/6/0638내방자 X/뮤지엄의 이름 아래8.7 %
2010/6/2039G의 가능성/배드 시네마 파라다이스산죠 리쿠시바사키 타카유키니지무라 아이
(김규리)
진 도펀트
클레이돌 도펀트
R 나스카 도펀트
클레이돌 엑스트림
8.1 %
2010/6/2740G의 가능성/당신을 용서할 수 없어7.7 %
2010/7/0441J의 미궁/엽기적인 악녀하세가와 케이이치이시다 히데노리진노 미키오
(진지한)
주얼 도펀트
R나스카 도펀트
7.5 %
2010/7/1142J의 미궁/다이아몬드는 상처 입고5.2 %
2010/7/1843O의 연쇄/노인탐정사카모토 코이치고토 모녀
(유나 모녀)
올드 도펀트7.8 %
2010/7/2544[38]O의 연쇄/슈라우드의 고백6.5 %
2010/8/0145K가 원했던 것/악마의 꼬리산죠 리쿠모로타 사토시토도로키 쿄코
(독고경은)
테러 도펀트
스밀로돈 도펀트
R나스카 도펀트(46화)
7.8 %
2010/8/0846K가 원했던 것/최후의 만찬6.7 %
2010/8/1547남겨진 U/필립의 의뢰이시다 히데노리필립유토피아 도펀트7.5 %
2010/8/2248남겨진 U/영원의 파트너7.7 %
2010/8/2949
(파이널 에피소드)
E에게 안녕/이 마을에 정의의 꽃다발을아오야마 아키라
(차동호)
에너지 도펀트
아노말로카리스 도펀트
코크로치 도펀트
6.2 %

평균시청률8.0%
최고시청률(1화)10.2%
최저시청률(16화)3.6%

서브타이틀 이니셜 법칙의 예외
화수서브타이틀(공통부분)내용
01/02W의 검색가면라이더 '더블(W)'.
13/14라디오로 Q1. 방송의 큐싸인.
2. 범인이 사용하는 닉네임 'Mr. Question'.
15/16F의 잔광더블의 제7의 메모리 '팡(Fang)'.
17/18안녕히 N이여소노자키 키리히코 가 사용하는 나스카(Nascar)의 이니셜
27/28D가 보고 있었다1. 이사카 신쿠로의 직업인 '의사(Doctor)'.
2. 일반인의 눈으로는 볼 수 없던 릴리 시로가네를
볼 수 있던 가제트 '덴덴 센서(DenDen sensor)'.
29/30악몽 같은 H이 에피소드의 '의뢰인과 범인의 이름'에서 공통으로 딴 이니셜이자
피해자들의 이마에 새겨진 글자.
35/36R의 저편으로1. 이사카 신쿠로가 과잉적합자로 고른 인물에게
공포를 심기 위한 심벌로서 사용한 '비(Rain)'.
2. 이사카와 사에코가 반기를 들었던
뮤지엄의 리더 소노자키 류우베(Sonozaki Ryuube).
3. 이사카 신쿠로에게의 복수를 뜻하는 Revenge의 R.
37/38내방자 X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떠오른 뮤지엄의 후원 조직, '재단 X'.
45/46K가 원했던 것이니셜 'K'에 대한 단서가 거의 주어지지 않아 매우 애매하지만, 대강 가능한 해석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1. 의뢰인 토도로키 쿄코(Kyoko)
2. 소노자키 류우베='공포의 제왕(Kyouhuno Teiou)'
3. 소노자키 가문='가족(Kazoku)'


14. 타임라인[편집]




15. 기타[편집]


  • 가면라이더 W의 'W'의 의미
작품의 타이틀인 W(더블)은 '둘이서 변신'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전후편으로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2화 1에피소드 구성'이라는 의미도 포함한다. 그리고 '11번째를 맞이하는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에 새로운 바람('W'ind)를 불게 한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한다.(카지 쥰의 인터뷰에서)

  • 본작의 방영시간이 가을인 이유
지금까지의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는 대부분 1월 후반에 방영을 시작하여 1년간 4쿨로 끝내고 있었다. 그런데 디케이드가 2쿨 반(31화+@)으로 끝나면서 그 해 가을부터 1년 4쿨로 시작하게 되었다.

이렇게 된 이유 중 첫 번째가 TV 방송과 극장판의 연동. 종래의 극장판은 8월이나 9월에 공개했기에 방송이 진행되고 있는 TV 방송과 연결하는 것이 어려웠다. 하지만 TV 방송을 가을에 시작하여 다음 해 가을에 종료시키면 극장판에서는 TV 방송의 클라이막스나 후일담을 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극장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올 라이더 대 대쇼커처럼 가을에 시작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의 피로연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방송 개시 시기를 늦추어 슈퍼전대 시리즈와 동 시기였던 라이더의 완구 경쟁을 피하게 만들어 양쪽 모두의 상권으로 이득을 보자는 전략 때문.

즉 이 때문에 헤이세이 라이더는 방송 기간이 가을부터 다음 해 가을까지가 되어 왔다.

  • 더블 주인공 이며, 게다가 캐릭터의 포지션도 자연스럽게 바뀌는 것은 작품 내 가장 큰 특징. 전체적으로 쇼타로가 앞, 필립이 뒤인 것은 똑같지만, 무턱대고 앞으로 달려가는 햇병아리 하프보일드 탐정(쇼타로 자신은 하드 보일드 탐정이라고 생각함) 쇼타로와 조금 이상하지만 뒤에서 정보를 제공해주는 필립의 구도로 시작해서 어느새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는 필립을 끝까지 믿고 이끌어주는 쇼타로의 포지션이 되버린다. 심지어 이 과정이 쇼타로의 정신적 성숙, 필립의 진실이 밝혀지는 과정과 자연스럽게 섞여서 위화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 지금까지의 가면라이더 시리즈는 원칙적으로 일본의 도시를 따온 곳을 무대로 삼았지만 이번 작품은 '후토'라는 가공의 도시를 무대로 설정했다. 이전 작품들보다 픽션적인 성향이 더욱 강해졌으며 주인공들의 인물 설정에도 이 후토라는 마을이 강하게 연관되고 있다.

  • '아저씨(오얏상=나루미 소우키치)'가 프롤로그에서부터 중요하게 언급된다. 다른 헤이세이 라이더에서도 굳이 말해 '아저씨'에 해당하는 포지션의 인물은 대부분 있었지만 스토리 상 비중이 거의 없었던 것에 비해, 이 작품에서는 이미 죽은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여러모로 주인공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바가 많은데다, 사건의 핵심에 한 차례 접근했다는 점에서 자주 이야기된다.[39]

  • 가면라이더의 상징이라고 일컬어지는 바이크와 라이딩 액션의 비중이 기존의 헤이세이 라이더에 비하면 상당히 높다.[40] 주인공인 히다리 쇼타로부터 일상적인 이동 수단으로 바이크 '머신 하드보일더'를 애용하고 있으며, 주인공들이 머무는 지하 기지의 정체 자체가 머신 하드보일더를 서포트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인 '리볼캐리'라는 이동기지이다.

  • 헤이세이에 들어 주로 나타나는 내용 구성인, '주인공의 라이벌 역시 라이더'라는 점과 '라이더 배틀'이라는 요소가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이 작품에선 주로 괴인(도펀트)이 주연 라이더의 라이벌 위치에 있는 상대로 설정돼있다.(예: W VS 나스카 도펀트, 액셀 VS 웨더 도펀트) 라이더 배틀의 성격은 에피소드 19, 에피소드 20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첫 만남 이후에는 두 라이더가 서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 팡 메모리에 의한 힘의 폭주와 같은 오래 끌 법한 요소를 1,2화 만에 해소시켰다.

  • 이 작품부터 최후반부에서 후속작의 주요 설정들이나 등장인물들이 홍보차로 등장하거나 언급된다.[41]
  • 영어 명칭이 'Masked Rider Double'이 아닌 'Kamen Rider Double'이다. 아마 미국에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를 방영하면서 영어 표기를 'KAMEN RIDER'로 정한 게 이유일 것이다. 즉, 가면라이더란 명사를 음역한 'KAMEN RIDER'를 만국 공용으로 사용하게 된 것.

  • 사실 이렇게 복고풍적인 설정이 많지만 기본적으로는 밝고 명랑한 작품[42]이기 때문에 과거 라이더의 느낌이 그렇게까지 많이 드는 편까지는 아니다. 헤이세이 라이더를 바탕으로 적절히 복고풍을 곁들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 후속작인 후토탐정이 애니메이션화 되면서 헤이세이 라이더 최초로 애니메이션화가 된 사례가 되었다.

16. 패러디[편집]


주제인 둘이서 하나가 여러가지 네타요소로 쓰이고 있다. 주로 성향이 비슷한 2명의 캐릭터(히어로)가 서로 융합되어 하나가 되는 그런 클리셰에 자주 적용된다. 여담으로 각본가가 같은 작품노답 콤비가 저 드립에 포함되어있다. (....)

개구리 중사 케로로에서 2명의 케론인이 하나로 케로롱~!(이와 비슷한 제목을 본다면은 맞을 확률이 거의 100% 혹은 100%다.)이라는 화로 패러디가 되었다.
그리고 320화의 B파트에서 히나타 아키가 초식남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 표본(?)으로 쇼타로와 필립 캐릭터가 배경에 잠깐 나온다. 필립 캐릭터에 안경을 씌워놓긴 했는데, 대놓고 변신 포즈를 취하고 있는지라...

또한 짱구는 못말려 18기 극장판에서 어른이 된 마사오(훈이)가 만화가가 되기 위해 연재했다가 인기가 너무 없어서 짤려버린(...) 만화의 제목이 가면 마사오 더블이다.

그리고 기어와라! 냐루코양 W에선 1화부터 냐루코가 가이아 메모리 비슷한거로 액셀, 키, 버드로 AKB 드립 치려다가 야사카 마히로에게 한대 맞고, '모에 가위바위보 총선거 FOREVER A TO Z 운명의 메모리'까지 나오는 등 대놓고 극장판 패러디를 했다(...)[44]

그리고 어떤 라노벨에서 다른 더블이 나온다카더라[45]



[1] 메인 각본[2] 예고편 멘트(번역은 국내판 멘트). 단, 최종화 예고편에서는 원판과 국내판 모두 "이걸로 끝이다!" 로 바뀌어 나온다.[3] 에피소드 23 ~ 24에서 후틱 아이돌 심사 위원 역으로 카메오 출연. 에피소드 23 한정으로 오프닝 영상이 기존 영상 대신 후틱 아이돌 촬영 무대에서 부르는 장면으로 대체되었다.[4] TV판에 삽입된 가면라이더 액셀의 테마와 동일.[5] 에피소드 23에서 쇼타로와 필립이 '가면Singer'란 가명으로 후틱 아이돌에 출연하여 불렀다. 국내 더빙판에선 더빙으로 내보냈다.[6] 이 에피소드에서는 쇼타로와 필립이 직접 부른다.[7] 에피소드 24, 에피소드 32에서 대놓고 앨범 광고다.[8] 한국어 버전은 엄상현 성우가 불렀다. 목소리를 들어보면 장광과 비슷하다.[9] 아마 이제까지 모든 헤이세이 라이더를 통틀어 유일하게 어쿠스틱 버전이 본 편에 삽입된 사례로 생각된다.[10]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파이즈도 약간의 로컬라이징은 있었다. 이누이 타쿠미 → 테이지, 쿠사카 마사토 → 구사카 사비노 등[11] 사실 예전 대영팬더 수입작들도 전부 로컬화가 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울트라맨 티가, 초성함대 세이저X가 현지화되어 방영한 걸 생각하면 그리 드문 사례는 아니다. 단, 가면라이더 시리즈 내에선 최초.[12] 루나 메모리에서 특히 잘 구분되는데, 메모리의 소리가 루↗나↓와 루→나↓ 식으로 자주 바뀐다. 그냥 한번 녹음하고 계속 쓰면 될 것을…[13] 기존에는 등장인물들이 부르는 노래만 더빙하고 나머지 삽입곡은 전부 원곡으로 내보냈었다.[14] 심지어 본인의 이름을 원판 이름으로 잠깐 동안 변경하여 원판을 그리워 하는 팬들에게 팬 서비스를 선사해 주었다. 보통 이런 씬에서는 어떻게든 어영부영 넘어가는걸 봐서는 장족의 발전이다. 썬더 일레븐진작에 이런 식으로 로컬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같이 꿈 속에 나온 필립은 나카무라 씨, 류강혁(테루이)은 타나카 씨가 되었다.[15] 하지만 과한 로컬라이징이 되려 독이된 장면도 몇몇 있다.대표적으로 필립이 타코야끼에 대해 연구하는 장면에서 타코야끼가 동그랑땡으로 로컬라이징이 되었으며,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하냐는 질타를 받기도 하였다. 타코야끼는 보통은 문어빵으로 번역된다.[16] 다만 이 부분은 타코야키 얘기 자체가 아키코의 출신지(오사카)를 언급하다 나온 것이기에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17] 실제로도 더블은 전작들에 비해 에로틱한 장면들(...)이 의외로 많다. 예시를 들자면 엉덩사위(...)가 극초반부부터 알몸으로 등장한다던가...[18] 물론 이 작품 이전에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가면라이더 카부토, 가면라이더 덴오를 12세로 방영해 주긴 했지만, 일부 채널 한정으로만 나왔다.[19] 이 때문에 TV판에서는 뜬금없이 아키코가 아버지의 사망을 알고 있는 상태로 나왔다.[20] 사실 방영하기엔 또 애매한 것이, 전작 디케이드로컬라이징 없이 방영되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충돌은 있을 것이다. 이제와서 디케이드의 이름을 한국식 이름으로 바꿀 수도 없고 그런데 진짜로 겹쳐서 나왔다.[21] 네버라는 존재가 극장판에서 밝혀지고 그 네버란 이름이 극장판이 끝난 후인 후반에 이야기가 나오니 극장판을 모르는 층에서는 의아하게 들릴수도 있다.[22] 첫날인 4월 2일은 4편이 올라왔다.[23] 이그제이드와는 달리 정글포스, 매직포스처럼 오프닝은 빠졌다.[24] 고스트 같은 경우 본편이랑 무비대전을 제외한 극장판이나 외전작은 거의 호평으로 가득했다.[25] 특히 더블의 필살기명을 외칠 때 너무 박력이 없다는 평을 받았다. 후반부와 포제 시네마에서 좀 나아지긴 했다.[26] 배우의 스케줄 문제로 갑자기 각본이 변경된 탓이라고는 하지만 차라리 끝까지 악역으로서 죽게 하거나 이터널처럼 동정해주되 잘못한 점을 꼬집는 쪽으로 결말을 냈으면 될 일이다. 산죠 리쿠는 이후 드라이브에서도 악역 미화 얘기가 나왔다. 하지만 드라이브 쪽은 PD은 오오모리 타카히토라는 거대한 적폐가 있었음을 고려해야 한다.[27] 슈트 뿐만 아니라 원작 배우가 그대로 나온다.[28] 배우 출연은 없고 빛의 환영으로 출현(목소리는 히다리 쇼타로역의 키리야마렌이 담당한거같다.)[29] 아쉽게도 스다 마사키는 스케줄상 불참하였는지 본 작품에서는 가면라이더 더블이 아니라 가면라이더 조커로서 출연한다. 그러다 후반부에 더블로 등장한다.[T] 테러 도펀트가 재출연한다.[E] 이터널과 그 배우 본인이 직접 재등장한다.[A] A B C 2호 라이더 테루이 류가 등장했다.[30] 원인은 히다리 쇼타로돈부리를 만들다가 던진 달걀이다.[31] 나루미 아키코 출연.[32] 예를 들어, 12화까지만해도 나루미 소우키치의 행방에 대해 모르던 아키코가 어느새 아버지가 죽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던가, 45화 이후에 쌩뚱맞게 부숴진 후토 타워와 카즈 쥰의 정체 등.[33] 평균시청률 8.0%. 디케이드와 타이 기록이다.[34] 이후에 가면라이더 W 비긴즈나이트로 이어진다. 다만, 44화에서 확실히 연계되는 부분을 보여준 운명의 가이아 메모리와는 달리 비긴즈 나이트는 연계되는 부분이 다소 애매한 편.[35] 후에 가면라이더 빌드에서 비슷한 이름과 똑같이 이발소라는 설정의 가게가 하나 등장하는데 이쪽의 바바 카제와 관련있을지는 불명.(그쪽은 바바키류)[36] 19~20화의 타이틀은 가면라이더 ZO의 ED 테마 '사랑이 멈추지 않아(愛が止まらない)'의 오마쥬.[37] 이후에 소설 가면라이더 W ~Z를 잇는 자~로 이어진다.[스포일러1] 본명: 스노 유키에[스포일러2] 본명: 성지윤[38] 이후에 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가 이어진다.[39] 그리고 무비대전에서 큰 비중을 다루어서 나온다.[40] 사실 라이딩 액션이라고는 해도 CG를 많이 사용하긴 했다. 허나 일단은 바이크를 무기로서 자주 사용했으며 액셀같은 경우에는 본인이 스스로 바이크로 변신하기도 한다. 단독 극장판인 운명의 가이아 메모리에서는 일반적인 바이크 액션도 공을 들인 편.[41] 47화 中 카즈의 상관으로 보이는 여자가 PDA를 건들던중 그 다음작 가면라이더 오즈의 주 아이템인 오 메달이 살짝 지나가듯이 나온다. 파일:가면라이더 W 각주 5.jpg[42] 간간히 어둡고 진지한 에피소드도 있고 3부에 들어와 분위기가 확 어두워지긴 하지만 엔딩도 해피엔딩이고 그만큼 개그가 많이 들어가 있다.[43] 1명은 소지만 했었고, 1명은 도펀트로 변신하기 직전 쇼타로에게 제압당했고, 2명은 도펀트가 되었다.[44] 여기에 한술 더 떠 냐루코와 쿠우코 두 사람이 가위바위보를 할 때의 대사는 "자, 피날레다." vs "맞장 한번 떠보자고!"[45] 실제로 외전에서 둘이서 변신벨트랑 가이아 메모리 가지고 포즈 대사 연습을 한다. 둘이서 하나인데다 바람속성을 다루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녹색은 안 들어갔지만.결국 작품 최후반부에서 엑스트림까지 달성했다

관련 문서